본문 바로가기
6. 생활 꿀 정보

법정공휴일이란?(의미, 공휴일 날짜)

by 9정보통통9 2020. 10. 29.
법정공휴일이란?(의미, 공휴일 날짜)

 

법정공휴일이란? 공휴일과 각 공휴일 의미 정리포스팅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대한민국 이 땅에서 거주하고 있다면 법정공휴일에 쉰다는 사실은 모두가 아실 겁니다. 다만~! 매 년마다 되돌아오는 이 법정공휴일의 종류와 그 공휴일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는 모든 내용을 다 알지 못하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정리해 보았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법정공휴일이란 무엇인지, 언제인지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잘 읽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신정 (1월 1일)

 

법정공휴일 첫 번째 1월1일 신정

 

 전세계적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날인 양력설로써 음력 1월 1일 설날과 구분하여 신정 또는 양력설이라고 부릅니다. 일제 강점기와 이승만, 박정희 정부 때에 이중과세묹를 없앤다는 이유로 양력설만을 지정하고 음력설을 쇠지 못하게 강제하였으나 음력설은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공휴일이 되었고 1989년 설날이라는 이름으로 3일 연휴가 되었습니다. 이후에는 연휴가 순차적으로 폐지되면서 1월 1일 하루만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2. 설날 (음력1월1일)

 

법정공휴일 음력1월1일은 설날입니다

 

음력 정월 초하룻날이라 불리며 세찬의 대표음식인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먹는다고 하였으며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설은 한 해의 최초 명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하루에 그치지 않는 명절입니다. 설이란 용어 자체는 정월 초하룻날, 하루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실제 명절은 대보름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설 명절이라고 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3. 3.1절(3월 1일)

 

법정공휴일 3.1절(3월1일)

 

1919년 일제의 철통 같은 무단통치를 뚫고 전국 각지에서 벌인 3.1 운동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민족의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 제정한 5대 국경일중 하나입니다. 삼일절은 3.1 운동이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 때문에 해방 이후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국가기념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 부처님 오신 날(구 석가탄신일, 음력4월8일)

 

법정공휴일 부처님오신날은 4월30일입니다.

 

부처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로서 2018년 석가탄신일을 부처님 오신 날로 공식 명칭 변경하였습니다. 초파일이라고도 하는 이 날은 불교의 종주국인 인도에서 음력 4월 8일을 부처의 탄일로 기념하여 한국에서도 4월 초파일을 탄신일로 보고 기념하기 시작하여 1975년 27일 대통령령으로서 공휴일 지정이 되었습니다.

 

 


5. 어린이날(5월 5일)

 

법정공휴일 어린이날은 5월5일입니다.

 

어린이의 인격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의 행보를 도모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서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으로서의 존 업성을 지닌 민주시민으로 바르고 씩씩하고 아름답게 자라기 위한 마음을 담아 만든 기념일입니다. 1975년 이래 현재까지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어 많은 아이들이 생일 이외에 손꼽아 기다리는 날이랍니다.

 


6. 현충일(6월 6일)

 

법정공휴일 현충일은 6월6일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분들을 기리는 날로서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과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 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기념일이라고 정의 내려 많은 국민들이 공휴일로 알고 있습니다. 6월 6일 망종에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져 왔으며 농경사회 관점에서 보면 보리가 익고 새롭게 보내기가 시작되는 망종을 가장 좋은 날이라고 생각하여 1956년 현충일 제정 당시 정부가 6월 6일 현충일로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7. 광복절(8월 15일)

 

법정공휴일 광복절은 8월15일로 아주 뜻깊은 날이랍니다.

 

1945년 8월 15일 한민족이 35년간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에서 광복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는 날로서 민족의 해방, 조국의 독립을 기념하는 법정 기념일이랍니다. 8.15의 의미는 해방, 독립, 광복의 모습으로 나타냅니다.

 

 


8. 추석(음력 8월 15일)

 

법정공휴일 추석은 음력으로 8월 15일입니다.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써 가을의 한가운데 달입니다.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로서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합니다. 가위나 한가위는 순수한 우리말이며 가배는 가위를 이두식의 한자로 쓰는 말이다. 추석을 글자대로 풀어보면 '가을 저녁' 즉,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뜻이 되겠으니 달이 유난히 밝은 좋은 명절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9. 개천절(10월 3일)

 

우리나라 법정공휴일 개천절은 10월3일이지요.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건국기념일입니다.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날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고 하늘에 감사하자는 전통적인 명절입니다.

 

 


10. 한글날(10월 9일)

 

법정공휴일 한글날은 10월9일로 한글을 만든날을 기념한답니다.

 

훈민정음, 곧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는 날로써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1926년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처음으로 시작되어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광복 후에는 양력 10월 29일로 확정되었고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이 되어 지금 날에 이르렀습니다. 세종어제 서문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고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11. 성탄절(12월 25일)

 

법정공휴일 성탄절(크리스마스는 12월 25일입니다)

 

 

그리스도교가 만들어낸 신화로서 그리스도가 12월 25일에 태어남을 기념하는 명절입니다.(기독교 명절)

전날은 크리스마스이브로서 연인들이나 친구들끼리의 시간을 보내고 크리스마스 당일에는 가족과 함께 즐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년 중 기념할 날이 참 많은 법정공휴일이지만 요즘은 바빠지는 일상생활로 그렇지 못한 분들도 늘고 있어 아쉽습니다. 그래도 조금의 시간을 내서라도 이렇게 많은 법정공휴일을 가족과 또는 사랑하는 사람과 즐기면서 살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표로 정리한 법정공휴일 보시면서 인사드리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have a good day~~♡

 

법정공휴일이란 의미와 날짜

 

댓글